정읍시농업기술센터가 AI와 ICT를 활용한 ‘모돈 체형 영상진단 기반 정밀 영양공급 기술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축산농가의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에 나섰다. 이번 시범사업은 모돈 300두 이상을 사육하고, 재귀발정률과 번식성적 등 생산 지표를 정밀 관리할 수 있는 인터넷 사용 가능한 축산 경영체 2곳을 대상으로 한다. 이 기술은 모돈의 등지방 두께를 비접촉 방식으로 자동 측정한 뒤 AI로 분석해 맞춤형 사료를 자동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사료 낭비를 줄이고, 비만이나 영양 부족과 같은 생산성 저해 요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입되는 임신돈 정밀 사료급이기(100스툴)는 개체별 영양 상태를 분석해 사료량을 자동 조정한다. 실증 농가인 송영철 씨는 “그동안 등지방을 수동으로 측정하고 사료량을 조절하는 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들었지만, 3D 스캐너와 AI 분석 시스템 도입 후 모든 과정이 자동화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됐다”고 말했다. 타 농장 적용 사례에서는 농가 소득 3.96% 증가, 사육 비용 4.39% 절감, 모돈당 연간 이유두수(PSY) 1.3두 증가, 사료효율(FCR) 0.1 개선 등 긍정적인 성과가 확인됐다. 시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임실군이 2026년 시설원예 분야 국비 지원 사업의 예비 사업자를 오는 25일까지 각 읍‧면사무소를 통해 모집한다. 이번에 모집하는 사업은 ▲시설원예 현대화 ▲스마트팜 시설 보급 및 컨설팅 ▲에너지 절감 시설 지원 ▲농업 에너지 이용 효율화 등 총 4개 분야다. 이는 지역 농가의 경영비 절감과 생산성 향상, 친환경 농업 기반 조성을 위한 주요 사업으로 추진된다. ‘시설원예 현대화 사업’은 양액 재배 시설, 측고 인상 등 설비 및 장비 개선을 통해 재배환경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스마트팜 시설 보급‧컨설팅 사업’은 복합환경제어기 등 첨단 장비와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농업의 디지털화를 가속한다. 또한, ‘에너지 절감 시설 지원’은 다겹 보온커튼 등 보온 장비를 지원해 겨울철 에너지 손실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으며, ‘농업 에너지 이용 효율화 사업’은 공기열 냉난방 시스템 등 친환경 설비를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신청 대상은 채소와 화훼류(육묘장 포함) 등 자동화 및 고정식 재배시설을 운영하는 농업인, 농업법인, 생산자 단체로, 해당 요건을 충족하면 읍‧면사무소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심 민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