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에서 금제 장신구와 백제계 토기·철기가 대거 확인되며 정읍이 백제 문화권의 핵심지였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입증됐다.
26일 정읍시에 따르면, 시는 사적으로 지정된 이 일대에서 국가유산청 보수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정밀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금제 구슬과 화형·잎형 장식, 금동 이식, 청동 팔찌, 유리 구슬, 뒤꽂이 등 정교한 장신구류가 출토됐다. 또한 삼족토기, 광구장경호, 병형토기, 대부완 등 다양한 백제계 토기와 철기도 발견됐다. 특히 금제 장신구는 백제 한성기(성남 판교·하남 감일동)와 웅진기(공주 금학동·군산 여방리 등)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과 비교 가능한 자료로 평가돼 학술적 의미가 크다.
은선리·도계리 고분군은 영원면 일대 2km 구간에 분포한 270여 기 가운데 횡혈식 석실분 56기가 집중된 곳으로, 2018년 사적으로 지정된 이후 2022년부터 정기적인 시굴 및 발굴조사가 이어지고 있다. 일부 고분은 도굴 피해가 있었으나, 이번 조사에서 부장 양상과 축조 시기를 추정할 주요 유물이 다수 확인되면서 백제 지방 지배세력의 실체와 정치적 위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이학수 정읍시장은 “이번 발굴 성과로 정읍의 백제 중심지 위상이 다시 확인됐다”며 “유적의 학술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해 시민과 방문객이 함께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더펜뉴스 송형기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