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군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2025 입법박람회’ 포럼에서 보편적 복지 정책 성과를 발표하며 농촌 정책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포럼은 국회기본사회포럼과 전국지방분권민주지도자회의가 공동으로 마련한 행사로,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입법 방향을 논의하고 각 지자체의 정책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였다.
최영일 순창군수는 인구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추진한 보편적 복지 정책과 그 결과를 설명하며 “민선 8기 순창은 출산에서 노년까지 군민 모두의 삶을 책임지는 보편적 복지 모델을 실천해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동행복수당, 대학생 생활지원금, 청년 종자통장, 농민 기본소득, 노인 일자리와 돌봄·의료 지원 등 생애주기별 맞춤형 정책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특히 2022년 조례 제정 이후 단계적으로 확대해 온 농민 기본소득 사업은 올해까지 농업인 1인당 200만 원 지급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최 군수는 “농민 기본소득은 단순한 보조금이 아니라 농업과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투자”라며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를 강조했다.
실제 성과도 나타났다. 순창군은 2023년과 2024년 연속으로 인구 순증을 기록했으며, 출생아 수는 79명에서 98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청년 인구는 116명이 증가했고 군 전체 평균 연령도 낮아졌다. 정책 만족도 조사에서는 군민의 85.2%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최 군수는 “순창군은 이미 농촌기본소득 국가 시범사업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성과와 실행 기반을 모두 갖춘 순창이 대한민국 기본사회의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국회의 관심과 지원을 바란다”고 밝혔다.
순창군은 앞으로도 군민이 출생부터 노후까지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보편적 복지체계를 더욱 강화해 대한민국 기본사회의 선도 모델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더펜뉴스 송형기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