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가 인구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해법으로 ‘생활인구 빅데이터’ 분석에 주목하고 있다. 군산시는 지난 23일 시청 상황실에서 ‘생활인구 빅데이터 분석 중간보고회’를 열고, 주민등록 인구를 넘어 실제 지역에 머무는 인구의 특성과 변화 양상을 중간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보고회는 군산시가 추진 중인 ‘생활인구 빅데이터 분석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보고회에서는 주민등록 인구와 생활인구 간의 괴리, 이동 인구의 패턴, 외국인 체류 인구의 변화 등 복합적 원인이 군산시 인구감소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데이터 기반으로 진단했다.
특히 군산시는 단순히 정주 인구만으로는 지역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운 현실을 인식하고, 체류·이동·소비 등 다양한 생활 요소를 반영한 실질적 인구 분석을 통해 보다 정밀한 정책 설계가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영민 군산시 부시장은 “정주 인구에만 의존한 기존 행정 방식은 한계에 이르렀다”며, “이번 생활인구 분석은 군산의 실질적인 인구 기반과 수요층을 정밀하게 파악해 시민이 체류하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군산시는 이날 중간보고회를 통해 확인된 데이터와 현황을 바탕으로 각 부서와의 협업을 확대하고, ‘2026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대응 전략 수립에 착수할 계획이다. 아울러 사회문제 해결형 예비 분석과제도 추가 발굴하여 시민 체감형 정책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방침이다.
생활인구 빅데이터 분석사업은 군산시가 공공과 민간 데이터를 융합해 ▲인구 구조 및 변화 ▲자연적·사회적 인구 증감 요인 ▲행정안전부 기준 체류 인구 및 통신사 기반 실생활인구 ▲읍면동 단위의 인구 군집 특성 등을 다각도로 분석하는 프로젝트다.
군산시는 앞으로도 공공데이터와 통신·유통 등 민간 데이터를 종합 분석해 지역 내 생활·소비·관광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구감소 대응 전략 △생활 편의 향상 정책 △지역 맞춤형 복지 서비스 개발 등에 연계할 방침이다.
더펜뉴스 최민성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