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군이 농촌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영세 농업인의 경영 안정에 기여하기 위한 ‘벼 농작업 대행비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순창군이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돈 버는 농업’ 정책의 일환으로, 고령화로 인해 직접 농작업이 어려운 농업인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이앙부터 수확까지 체력과 기술이 요구되는 벼농사의 특성을 고려할 때, 고령 농업인에게는 전문 대행 서비스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군은 벼 재배 면적 1,000㎡ 이상 5,000㎡ 이하의 농가를 대상으로 ㎡당 115원을 지원해, 최대 57만 5천 원까지 농작업 대행비를 보조한다. 지원 대상은 2025년 1월 1일 기준 만 70세 이상으로, 순창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12개월 이상 거주한 농업인이다. 다만 농업 외 소득이 3,700만 원 이상이거나 농업경영체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군은 지난해에도 동일한 사업을 통해 총 472농가에 1억 3,300만 원을 지원했으며, 참여 농가들로부터 “실질적인 경영비 절감 효과가 있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사업 신청은 8월 8일까지 거주지 읍·면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가능하며,
전북 정읍시가 지역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전방위 인구정책을 본격 가동한다. 시는 12일 ‘시민이 힘이다! 정읍의 미래’를 슬로건으로 내건 ‘인구사랑 범시민운동’ 캠페인을 열고, 전입 유도와 체류 확대, 외국인 정주 지원을 3대 전략으로 내세웠다. 정읍시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인구 10만 명 유지와 생활인구 50만 명 달성을 중장기 목표로 삼고, 시민과 행정이 함께 참여하는 인구정책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학수 정읍시장은 “저출산과 고령화, 청년 인구 유출이라는 복합 위기 속에서 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면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전입 독려와 정주 여건 개선을 통해 모두가 살고 싶은 정읍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번 인구사랑 캠페인의 핵심은 ‘정읍愛 주소갖기’, ‘정읍愛 머무르기’, ‘정읍愛 함께살기’로 요약된다. ‘정읍愛 주소갖기’는 실거주자 전입을 유도하는 전략이다. 시는 정읍에 살면서도 주소는 다른 지역에 둔 주민들을 대상으로 전입을 장려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입지원금, 출생축하금, 육아수당, 대학 신입생 장학금, 청년 이사비 및 대출이자 지원, 귀농인 정착금, 장수 어르신 축하물품 등 생애 주기별 맞춤형 정책을 마련해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