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가 멧돼지, 고라니, 철새 등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줄이기 위해 보상금 지원과 예방사업, 포획활동을 다각도로 추진하며 농가의 안정적인 영농을 지원하고 있다. 시는 올해 농작물 피해보상금으로 1억 원을 편성해 야생동물 피해 농가를 지원 중이다. 농가가 신청하면 현지 조사를 거쳐 작물별 소득액, 실경작면적, 피해율에 따라 산출된 금액의 80%를 보상한다. 단,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농가는 제외되며, 지원액은 최대 500만 원까지 지급된다. 예산은 소진 시까지 한정된다. 겨울철 동진강 인근 서부권에서는 철새 피해가 빈번하다. 올 상반기에도 라이그라스, 보리 등이 피해를 입어 101세대에 3,800만 원이 지원됐다. 지난해에는 멧돼지와 고라니 피해 농가 32곳에 5,800만 원, 철새 피해 농가 99곳에 2,700만 원이 각각 지원된 바 있다. 예방 차원의 지원도 강화됐다. 철제형과 태양광형 울타리 설치를 지원하는 야생동물 피해 예방사업에는 올해 2억 4,000만 원이 투입됐으며, 현재 55농가가 신청해 추진 중이다. 아울러 주민 안전과 농작물 피해 방지를 위해 ‘유해야생동물 피해방지단’을 연 2회, 30명씩 선발해 운영한다. 올해 하반기에도 7월 1일부터
정읍시가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높이고 온실가스를 저감하기 위한 ‘2025년 볏짚환원사업’ 신청을 오는 29일까지 접수한다. 볏짚환원사업은 벼 수확 후 발생하는 볏짚을 수거하지 않고 파쇄 또는 썰어서 논에 그대로 환원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을 통해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는 동시에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도 줄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사업 대상은 농업경영체로 등록된 정읍시 내 벼 재배 농가다. 볏짚을 환원한 면적에 따라 ha당 25만 원의 지원금이 지급되며, 최소 0.1ha부터 최대 3ha까지 신청할 수 있다. 참여 농가는 볏짚을 수확하지 않고 썰어 논에 그대로 남겨야 하며, 정읍시는 오는 11월 해당 농지의 이행 여부를 현장 확인한 후 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볏짚을 논에 환원하는 것은 토양을 건강하게 만들고 화학비료 의존도를 낮추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토양 내 탄소 축적을 통해 온실가스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는 만큼 많은 농가의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더펜뉴스 송형기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읍시가 연일 이어지는 폭염 속에서 가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스트레스 완화제를 긴급 공급하며 축산 현장 대응에 나섰다. 정읍시는 30일, 전북특별자치도의 예비비와 정읍시 폭염 대응 특별교부세를 활용해 비테인(베타인) 성분이 함유된 가축용 스트레스 완화제를 긴급 구매해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제품은 고온으로 인한 체온 상승, 식욕 저하, 면역력 약화 등 가축의 생리적 스트레스를 줄여 폐사 예방과 생산성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지원은 특히 폭염에 취약한 양돈, 닭, 오리 농가를 중심으로 신속히 이뤄질 예정이며, 축산 현장에 직접 전달돼 실질적인 피해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읍시는 아울러 폭염 대응 매뉴얼에 따라 냉방시설 지원, 급수·사료 관리 지도, 가축 질병 예방 활동 등 종합적인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축산 현장을 직접 찾아가는 점검도 병행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올해처럼 폭염이 장기화될 경우 가축 피해가 현실화될 수 있다”며 “이번 긴급 공급이 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의 대응으로 축산농가의 안정적 사육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더펜뉴스 송형기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