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내 5개 시군이 교육부의 ‘자기주도 학습센터 공모사업’에 모두 선정됐다. 전북교육청은 2일 “순창, 정읍, 김제, 장수, 고창이 이번 공모사업에 선정돼 학생들에게 균형 잡힌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자기주도 학습센터는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우고 실천할 수 있는 배움의 공간이다. 센터에는 개인 학습이 가능한 독서실, 모둠 활동을 위한 회의실, 편안한 휴게 공간 등이 마련된다. 학원이나 민간 스터디카페 이용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학습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이번 선정으로 교육청과 지자체는 협력해 지역과 소득 수준에 따른 교육 격차가 학습 기회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학습코디네이터를 배치해 학생들의 학습을 체계적으로 돕는다. 운영 대상은 학업 의지, 소득 수준, 학교장 추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발된 중·고등학생이다. 전북교육청은 이들이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기주도 학습 문화를 체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할 예정이다. 유정기 교육감 권한대행은 “자기주도 학습센터는 학생들에게 균등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교육 격차를 완화하는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초등 저학년 학생들의 한글 해득과 읽기·쓰기 능력을 체계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교원의 한글 지도 전문성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전북교육청은 5일 전주 치명자산 평화의전당에서 ‘2022 개정교육과정 기반 한글지도 이해와 지도의 실제’를 주제로 ‘한글책임교육 심화연수’를 실시했다. ‘한글책임교육’은 한글 미해득 학생을 조기에 발견하고, 맞춤형 보정지도를 통해 학교와 국가가 모든 학생의 기초 문해력을 책임지는 국가 정책이다. 이에 전북교육청은 교원 연수를 기본-심화-실행 단계로 체계화해 학교 현장의 지도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앞서 도내 14개 교육지원청에서는 초등 1~3학년 교사 410여 명을 대상으로 한글교육 기초 연수가 이미 진행됐다. 이번 심화연수는 초등 1~2학년 담임교사 및 한글책임교육 기본과정을 이수한 초등교사 12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론과 실제를 융합한 실천적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춰졌다. 강사로는 이경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수와 이해영 전주신동초 수석교사가 참여해, 현장 교사들이 실제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한글지도 방안을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했다. 전북교육청은 오는 9월부터 교사 연구회를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