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가 농촌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경제·사회서비스 혁신을 선도하며 ‘전국 확산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김제시는 농촌 인구감소와 고령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농촌지역 공동체 기반 경제·사회서비스 활성화법」 시행 이전부터 발 빠르게 정책과 현장 사업을 추진해 왔다. ‘생생마을관리소’ 운영을 비롯해 노인 건강관리 활동가 양성·파견, 마을기술사업단, 주민공동학습회 등 주민 생활과 직결되는 맞춤형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김제시농어촌종합지원센터가 중간지원조직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아 지역 현장의 필요를 제도화된 사업으로 연결해 왔다. 더불어 전북특별자치도 농촌경제사회서비스활성화지원센터가 김제시 백구면에 설치되면서 전국 유일의 전문 교육·훈련 기관이 운영되는 것도 김제시의 강점이다.
이 같은 선도적 실천은 다른 지자체들의 벤치마킹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북 10개 시·군 코디네이터들이 김제시 생생마을관리소를 직접 학습했으며, 강원도 춘천시의회 ‘ESG 실천 연구회’도 최근 김제를 방문해 법 제도화 대응 사례를 공유했다. 정읍시 역시 오는 9월 견학을 예정하고 있어 김제시 모델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또한 김제시는 농촌경제사회서비스 활성화계획 시범 수립 지역으로 선정되어 국가 법제에 근거한 실행계획을 수립 중이다. 이 계획은 향후 ▲농촌서비스 공동체 육성, ▲부처 연계 사업 발굴, ▲지역 통합돌봄과의 연계 강화로 구체화될 전망이다. 특히 보건복지부의 ‘통합돌봄지원법’과의 연계성을 강화함으로써 경제·사회서비스와 돌봄·보건 영역을 아우르는 통합적 모델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기수 김제시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중간지원조직의 역량 강화와 제도적 기반 확립이 지속가능한 주민 중심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며, “김제시가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더펜뉴스 최민성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