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익산시가 왕궁 지역의 자연환경복원을 위해 지역 주민들과 손을 맞잡았다. 행정 주도가 아닌 주민 참여형 생태복원 모델로 전환하면서, ‘환경오염의 상징’이었던 왕궁이 생태도시의 거점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시는 2일 왕궁정착농원 내 익산·금오·신촌마을 주민들과 자연환경복원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사업의 지속 가능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왕궁정착농원 일대는 한센인 정착촌과 환경오염의 아픈 역사를 간직한 지역이다. 2023년 현업축사 매입이 완료되면서 환경부의 자연환경복원 시범사업지로 지정됐고, 이후 복원과 재생의 전환점을 맞고 있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행정 사업을 넘어, 복원 과정 전반에 지역 주민들이 주체로 참여한다는 데 의의가 크다. 시는 협약을 통해 주민 중심의 생태 회복 체계를 제도화하고, 지역 공동체 회복 및 환경 관리 역량 강화를 동시에 꾀할 방침이다.
특히 주민 참여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을 위해 ‘생태계서비스지불제’ 도입을 확대한다. 생태 보전 활동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통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복원 사업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협약 주요 내용은 △지역주민의 사업 협조 및 참여 △멸종위기종 서식지 보호 △복원 대상지 보호구역 확대 및 관리 강화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운영 등으로 구성됐다.
익산시는 이번 협약 이후에도 공청회 개최, 전문가 자문단 운영, 주민 간담회 등을 통해 실질적인 의견을 반영하고, 생태자원 증진 사업과 생태관광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침체된 지역경제 회복까지 도모할 계획이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이번 협약은 단순한 복원을 넘어 주민과 행정이 함께 환경의 가치를 회복하고 공유하는 지속 가능한 생태전환의 출발점”이라며 “왕궁이 환경 치유의 상징이자 대한민국 대표 생태복원 모델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더펜뉴스 최민성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